자살 또는 자해의 시도나 임박하거나 잠재적인 위험의 예시
- 지난 1년 이내의 자살이나 자해 시도 경험이 있음
- 명료하고 구체적인 자살이나 자해 시도 계획이 있음
- 지속적인 자살 생각이나 자해 충동에 몰입하고 있음
증상의 악화로 인한 건강의 중대하거나 급박한 위험의 예시
- 치료가 필요한 증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병식의 부재, 치료 환경의 미비 등의 사유로 증상이 심각한 수준으로 악화되는 경우
- 정신질환으로 인한 재산의 탕진, 신체적 건강을 돌보지 않음, 위생 및 청결의 문제로 인한 감염성 질환의 위험 증가
- 정신질환에 대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난치성 증상의 지속 및 현실 검증력과 판단력에 심대한 장애가 지속되는 경우
- 정신질환으로 인하여 본인의 신체적 건강관리를 포함 기본적 자기 능력 관리능력에 심대한 장애를 보이는 경우
중독성 약물의 과도한 복용으로 인한 건강의 중대하거나 급박한 위험의 예시
- 제어되지 않는 갈망 등 중독의 문제로 야기되는 정신적, 신체적 건강의 위험성
- 의식장애, 혼미, 금단증상 등으로 인한 자해 위험성 증가 및 타인에 대한 공격적 행동 위험
타인에 대한 신체적 가해행위나 그 위협행위, 성적 문제행동 등 타인의 신체나 생명,
성적 자기결정권을 침해하거나 그 위험이 있는 경우
방화, 기물 파손, 모욕이나 명예훼손 등 타인의 재산, 명예를 침해하거나 그 위험성이 있는 경우
또한 그 진단이 신경증일지라도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입원이 필요합니다.
- 과도한 스트레스에 의해 심신이 극도로 쇠약한 경우
- 삶의 의욕을 잃어버릴 정도로 탈진한 경우
- 교통사고나 업무 도중 발생한 사고에 의한 후유 장해, 외과적 수술 및 재활 치료를 받은 후에도 지속하는 정신적 고통, 불안, 악몽, 신체적 불편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이므로 정밀 심리 평가 후 입원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그리고 병원에서만 가능한 합병증 치료나 특수치료를 위해, 별도 특별 프로그램 집중 훈련 필요시에도 또한 입원이 필요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