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만의 세상에 갇혀 있는
망상성 장애

치료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망상장애란?

망상장애는 쉽게 변하지 않는 잘못된 믿음인 망상이 주 증상으로 나타나는 질병입니다.
망상의 경우 한 가지만 있을 수 있고, 여러 개의 망상이 동시에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또한 망상의 성격에 따라 기분에 변화가 있을 수도 있으며, 조현병에서 보이는 환청, 환시 등의 환각 등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망상 외에는 사고 과정에서 장애를 보이지 않으며, 다른 정신과적 질환들에 비해서는 사회적 및 직업적 기능이 상대적으로 유지됩니다.

망상장애

망상장애의 원인은?

생물학적 원인 가족력 등의 유전적 소인
유전적 원인 부모의 지나친 기대와 엄격한 태도 하에 성장한 경우, 과도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경우

망상장애 특징

비합리적, 비현실적인 사고의 내용에 대해 감정이 개입된 확고한 확신이 뚜렷하고 내적 비판이나 갈등이 없습니다.
(이는 강박사고와 구별됩니다)



어떠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논거를 가지고 설득해도 교정할 수 없으며,
해당 망상만 건드리지 않으면 거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조현병과 차이가 있습니다.)



가장 흔한 망상장애로는 피해망상증과 과대망상증이 있습니다.

피해망상증 증상

다른 사람이 자신에게 피해를 준다고 생각하는 정신 질환

01본인은 누군가에게 시달리거나 괴롭힘을 당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02남이 자신을 미행, 감시, 도청하고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03누군가 자신을 죽이기 위해서 음식에 독을 넣을 것이라는 의심을 버리지 못합니다.

04몰래 어떤 장비를 자신의 몸에 설치하였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05누군가 자신을 몰래 찍는 것 같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과대망상증 증상

자기 존재, 능력을 과대평가하거나 의미를 부여하는 증세를 보입니다. 이는 현실 부인이 깔려있어 분열병일 경우 피해 망상으로 발전합니다.
과대망상증 역시 생활에 아무런 이상이 없지 않을까 생각하지만 과대망상증이 있는 사람이라면 자신이 아주 위대한 인물이거나 특별한 능력을 가졌다고 여기기 때문에 돈을 쓰거나 일을 벌여 경제적, 법적으로도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망상장애의 치료

입원치료 대부분의 경우 외래에서 치료를 하는 경우가 많으나, 정확한 평가가 필요하거나 증상이 심각하여 자해
또는 타해의 명백한 위험이 있는 경우 입원치료의 대상이 됩니다.
약물치료 항정신병약물 등을 사용하는 약물치료와, 상담 등 정신치료 등의 치료 방법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항정신병약물들은 망상을 없애는 데에 효과가 뚜렷하지 않으며, 약물을 복용하더라도 망상으로
인한 불안, 초조함 등은 조절이 되더라도 핵심적인 망상은 그대로 유지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외에도 지지적 정신치료, 인지치료 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